수강궁이란 1418년에 세종이 상왕으로 물러난 태종의 거처를 위해서 마련한 궁이다.
창경궁은 창덕궁과 연결되어 동궐이라는 하나의 궁역을 형성하면서,
독립적인 궁궐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창덕궁의 모자란 주거공간을 보충해주는 역할을 하였다.
성종대 창건된 창경궁은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으로 모든 전각이 소실되었고,
광해군 8년(1616)에 재건되었다. 그러나 인조2년(1624) 이괄의 난과 순조30년(1830) 대화재로 인하여 내전이 소실되었다.
화재에서 살아남은 명정전, 명정문, 홍화문은 17세기 조선시대 건축양식을 보여주며,
정전인 명정전은 조선왕궁 법전 중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년도 | 내 용 |
---|---|
1418(세종즉위년 11월초 3일) | 상왕전(태종)신궁으로 수강궁 영건 |
1483(성종 14년) | 수강궁터에 창경궁 영건 |
1592(선조 25년) | 임진왜란으로 소실 |
1616(광해군 8년) | 명정전, 문정전, 환경전, 인양전, 공사청, 홍화문 등 중건 |
1623(인조 원년) | 인조반정시 저승전 소실 |
1624(인조 2년) | 이괄의 난으로 통명전, 양화당, 환경전 등 소실 |
1633(인조 11년) | 통명전, 양화당, 환경전, 함인정 등 중건 |
1670(현종 11년) | 건극당 건립 |
1777(정조 원년) | 자경전 건립 |
1779(정조 3년) | 월근문 건립 |
1790(정조 14년) | 통명전 화재 |
1830(순조 30년) | 환경전 화재로 함인정, 경춘전, 숭문당, 영춘오행각, 빈양문 소실 |
1834(순조 34년) | 통명전, 여위당 등 중건 |
1857(철종 8년) | 선인문, 동북소부장청, 위장소, 주자소, 대청판당 등 60여칸 화재 |
1877(고종 14년) | 창경궁 수리 |
1909(순종 3년) | 창경궁내 동ㆍ식물원 개설 |
대한민국 | |
1950.6.25 | 동란으로 폐원 |
1954 | 서울 수복으로 개원 |
1963.1.18 | 사적 제123호 지정 |
1983.7.1 | 복원공사를 위하여 공개 폐지 |
1983.10 | 동ㆍ식물원 일부를 남서울대공원에 인계 |
1983.12.30 | 창경궁으로 환원 |
경주여행(안압지 주변) (0) | 2011.05.13 |
---|---|
석총사의 야경 (0) | 2011.05.06 |
울고넘는 박달재~~! (0) | 2011.02.24 |
성지베론과 의림지 (0) | 2010.12.10 |
충주 석종사 (0) | 2010.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