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장미산성
장미산성은 충북 중원군 가금면 장천리(현재 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와 하구암리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는 장미산에 축조된 석축산성이다.
이 산성은 장미산의 표고 337.5m인 최정상부와 동쪽으로 수평거리 270m 정도 떨어져 있는 산봉우리를 에워싸고 각기 양 능선을 타고
남쪽으로 내려오며 성벽을 축조하고 있는데, 동~서의 폭이 좁고 남~북의 길이가 길어서 직사각형에 가까운 부정형을 하고 있다.
평면상 동서의 최소폭은 약 270m이고, 남북의 최대 길이는 약 950m에 이른다.
따라서 지형은 북쪽이 높고 남쪽이 낮으며, 북쪽에서 남쪽으로 조그만 계곡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 산성의 성 둘레는 내측선(內側線)을 기준으로 2,940m에 달하는 포곡식산성이다.
체성은 내탁(內托)에 의한 축조기법으로 구축되었으며, 외벽의 높이는 전체적으로 3.5~5m를 나타내고 있으나,
서벽에서 6.5m에 달하는 지점도 있다. 또한 동벽과 서벽에서 남벽과 북벽으로 회절하는 일부구간에서는
협축(夾築)에 의한 축조방법도 나타나고 있는데, 동벽의 내벽고(內壁高)는 1.2~1.5m이며, 서벽의 내벽고는 0.4~0.6m에 달하고 있다.
면석(面石)은 장방형(長方形)으로 비교적 잘 다듬은 석재를 사용하여 수평쌓기를 하였으며,
벽심(壁心)도 수평을 유지하면서 적심하였는데 안쪽으로는 뾰족면을 서로 엇물려 축조하였기 때문에 외면의 면석이 무너진 경우
잔존부는 뾰족한 뿌리부가 밖으로 박힌 채 남아 있다.
성벽 상하의 석재는 크기에 있어서 서로 차이가 없는 편이라 하겠다.
성벽의 기울기는 전체적으로 80~85˚의 경사로 거의 수직에 가깝다.
성문은 동·서·남·북쪽의 4면에 성문을 시설하였을 것으로 보이나, 동문과 북문은 성 내외의 고저(高低)의 차가 심하여 다락문의 구조가 예상된다.
이 산성에는 성밖으로 돌출 시킨 설상(舌狀)의 곡성(曲城)이 8개소 시설되어 있다.
이 곡성은 북쪽 능선, 동쪽의 능선 3개소와 동남 각부(角部)의 능선, 그리고 서벽에 3개소의 짧은 능선모양의 선단(先段)을 이룬 곳에 시설되었는데,
규모도 일정하지 않고, 형태도 일정한 것은 아니지만 모두가 단상(段狀)의 테라스상으로 되어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장미산성 [中原 薔薇山城] (고고학사전, 2001. 12., 국립문화재연구소)
- 장미 산성 -
장미산성에서 본 풍경
장미 산성에서 본 풍경-일출을 보지 못 해 아쉬웠습니다.